"헌선도(獻仙桃)의 실현 과정과 창사와의 관련 양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헌선도(獻仙桃)의 실현 과정과 | + | =헌선도(獻仙桃)의 실현 과정과 창사=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2021년 4월 16일 (금) 00:44 판
헌선도(獻仙桃)의 실현 과정과 창사
| 음악연주(樂) | 구호 | 죽간자 | 창사(歌) | 舞 | 歌舞의 주체 | |
|---|---|---|---|---|---|---|
| 1 | 會八仙引子연주- | 음악이 끝나면 | ||||
| 進口號 | ||||||
| 2 | [구호] | |||||
| 3 | (박)회팔선尾연주 | 족도(박) | (박)折花舞 | 王母와 挾舞 | ||
| (박)斂手足蹈 | 王母와 挾舞 | |||||
| (박)四手舞 | ||||||
| (박)선도반을 | 女妓 | |||||
| 왕모에게 | ||||||
| 4 | 원소가회사 | 王母 致詞 | ||||
| 5 | (박)회팔선연주 | (박)四手舞 | 王母 | |||
| 獻天壽 慢 | 獻天壽慢 尾前詞 | 王母와 挾舞 | ||||
| 6 | 일난풍화사尾前詞 | 王母와 挾舞 | ||||
| 7 | (박)尾後詞 | 옷소매바꾸어 | 王母와 挾舞 | |||
| 8 | 일난풍화사尾後詞 | 王母와 挾舞 | ||||
| 9 | 음악 그치면 | 염수하고선다 | ||||
| 헌천수 嗺子 | 外袖들고 창 | 좌우협 | ||||
| 10 | 헌천수최자사 | 협무창사 | ||||
| 11 | (박)金盞子 慢 | 廣袖懽場舞 | 왕모 | |||
| 金盞子 嗺子 | (박)염수족도 | 왕모 | ||||
| 金盞子 慢 미전사 | 소매들고 | 왕모 | ||||
| 12 | 여일서장사 미전사 | 왕모창사 | ||||
| 13 | (박)미후사 | 옷소매바꾸어 | ||||
| 14 | 여일서장사 미후사 | 왕모창사 | ||||
| 15 | (박) 金盞子 嗺子 | (박)제자리로 | 왕모 | |||
| 金盞子 嗺子(박) | 受寶籙舞앞으로 | 협무 | ||||
| 挾袖舞 뒤로 | 협무 | |||||
| 垂揚手舞제자리 | 협무 | |||||
| 음악이 그치면 | 金盞子 嗺子 | 외수를 들고 | 좌우협 | |||
| 16 | 동풍보난사 | 협무창사 | ||||
| 17 | (박)瑞鷓鴣 慢 (3) | |||||
| 서자고최자 | (박)조금나가섬 | 왕모 | ||||
| 음악이그치면 | 瑞鷓鴣 慢 | 소매들고 | 왕모 | |||
| 18 | 해동금일사 | 왕모창사 | ||||
| 19 | (박)瑞鷓鴣 慢 | 족도(박)제자리 | 왕모 | |||
| 서자고최자사 | 외수들고 | 좌우협 | ||||
| 20 | 북포동완사 | 협무창사 | ||||
| 21 | (박)협무앞 | |||||
| 千年萬歲 인자 | (박)족도 | |||||
| 음악그치면 | 퇴구호 | |||||
| 22 | [구호] | |||||
| 23 | (박)千年萬歲인자 | 족도(박)퇴 | (박)협수무앞으로 | 왕모 협무 | ||
| (박)염수족도 | 왕모 협무 | |||||
| (박)退手舞 | 왕모 협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