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번째 줄: 2번째 줄:
  
 
=='''개요'''==
 
=='''개요'''==
[[가정신]]은 한국의 [[가정신앙]]에서 집안을 지켜주는 신을 의미한다.  
+
가정신]은 한국의 [[가정신앙]]에서 집안을 지켜주는 신을 의미한다.
 +
가정신의 경우, 각각의 역할이 굉장히 세분화되고 전문화되어 있다. 이는 현세적 종교 문화발달에 따른 주거공간의 세분화에서 연유된 것으로 보인다. 농경생활의 시작과 함께 집의 기능이 단순한 방어적 기능에서 생활근거지로 변화하게 되고, 문화와 생활영역이 확대되면서 집의 공간 역시 분화되며 이러한 신앙체계가 형성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
[[조왕]]신과 [[측]]신은 <[[문전본풀이]]>신화를 바탕으로 하며, [[성주]]신은 <[[성주풀이]]>신화를 바탕으로 한다.
  
 
=='''집의 공간에 따른 가정신'''==
 
=='''집의 공간에 따른 가정신'''==

2016년 6월 5일 (일) 22:36 판


개요

가정신]은 한국의 가정신앙에서 집안을 지켜주는 신을 의미한다. 가정신의 경우, 각각의 역할이 굉장히 세분화되고 전문화되어 있다. 이는 현세적 종교 문화발달에 따른 주거공간의 세분화에서 연유된 것으로 보인다. 농경생활의 시작과 함께 집의 기능이 단순한 방어적 기능에서 생활근거지로 변화하게 되고, 문화와 생활영역이 확대되면서 집의 공간 역시 분화되며 이러한 신앙체계가 형성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조왕신과 신은 <문전본풀이>신화를 바탕으로 하며, 성주신은 <성주풀이>신화를 바탕으로 한다.

집의 공간에 따른 가정신

집의 공간배치 공간 가정신
살림채 큰방, 안방, 작은방 삼신, 제석, 조상, 말명, 왕신
살림채 부엌 조왕
살림채 마루 성주
부속채 외양간 우마신
부속채 곳간 도장지신, 용단지, 업신, 농기구신
부속채 방앗간 방앗간신, 농기구신
부속채 측간
마당과 부속시설 앞마당 마당신
마당과 부속시설 뒷마당 터주, 업신, 철융, 철룡, 용단지, 칠성
마당과 부속시설 담장 사신
마당과 부속시설 대문 수문신
마당과 부속시설 우물 우물신
기타 생업현장 누에신, 인삼신

클래스

  • 원전


출처

  • 정수희, 「전통문화콘텐츠의 현대적 활용 - 웹툰<신과 함께-이승편>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연구 제2호,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2, 70-93p.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