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성의 전통 머리모양(가계를 중심으로)과 장신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kdkfk1705 (토론 | 기여) |
Akdkfk1705 (토론 | 기여) |
||
106번째 줄: | 106번째 줄: | ||
===가계와 관련된 여러가지 논의들=== | ===가계와 관련된 여러가지 논의들=== | ||
+ | *가계(假髻)의 범위설정에 관한 논의 | ||
+ | *가계(加髻)의 전통성과 독자성에 관한 논의 | ||
===전통머리(가계)와 관련된 역사적인 사건들=== | ===전통머리(가계)와 관련된 역사적인 사건들=== |
2020년 4월 23일 (목) 11:04 판
*타겟대상 : 영화, 드라마등 각종 미디어매체의 미술감독, 캐릭터디자이너, 패션 디자이너등 전통머리의 컨텐츠를 필요로 하는 모든 분야의 직업군 *타겟 메시지 : 전통머리는 K-뷰티의 원형으로써 한복과 더불어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응용할 수 있는 아주 좋은 소재라고 생각한다. 문헌이나 유물, 회화에서 볼 수 있는 가계를 시대별, 유형별로 정리해 봄으로써 우리나라 여성의 머리모양이 어떤식으로 변화해왔는지 보여주고, 더불어 우리나라 머리모양의 원형을 복원하고 연구하는데 노력하는 사례들을 소개해 복식연구에 비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두식(頭飾) 연구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싶다.
한국_여성의_전통_머리모양(가계).lst
한국 여성의 전통 머리모양(가계를 중심으로)
가계(加髻)의 정의 [1]
가계(加髻)는 한국 여인의 전통 머리모양 중 개인의 두발에 다른 소재를 부가하여 입체적으로 표현한 전통 머리모양을 칭하는 용어이다.
가계는 매우 다양하였을 뿐만 아니라 시대별로 사회적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해왔다.
또한 한국의 전통사회에서 맨머리를 드러내지 않고 반드시 관모를 착용하였던 남성의 차림새와 같이 여성의 중요한 머리 차림새였다.
가계는 여성의 미적욕구를 충족시키면서 관모와 같은 사회적 약속을 지켜나갔다고 볼 수 있다.
한국 가계(加髻)의 분류[2]
- 가계(假髻)
가계(假髻)는 시대에 따라 다른 명칭으로 불렸고, 재료도 사람의 두발, 흑사, 지질, 목재, 직물 등으로 다양했다.
가계의 형태와 기능의 차이는 한국복식사에서 연구자에 따라 가계를 관모로 간주하거나 쓰개류나 수식(修飾)류 혹은 단순히 가체로 분류하는 등 다양한 이론이 제기됐다.
거두미(떠구지머리),목재[3]
- 체계(髢髻)
체계(髢髻)는 체를 더해 꾸민 전통 머리모양이다.
이때의 체(髢)는 월자(月子), 다리, 다래, 달비라고도 불렸으며[4]
,주로 머리숱이 적은 여자들이 두발에 덧드려 맸던 것으로 가계의 가장 중요한 소재이다.
그런데 체(髢)를 이용한 가계(加髻)의 하나인 '체계(髢髻)'와 소재로서의 '체(髢)'를 뜻하는 유사용어가 혼동되는 경우가 많았다.
예컨대, 많은 고문헌에서 '체계'라는 용어가 '체'를 뜻하는 유사용어인 수체(首髢),체자(髢子),가발(假髮),가체(加髢) 등과 구분되지 않고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의 개념을 명확히 구분하자면, '체'는 가계의 소재를 의미하고, '체계'는 '체'로 만들어진 가계를 의미한다.[5]
체계[6]
상위개념 | ||
---|---|---|
가계(加髻) | ||
다른 소재를 더한 모든 두발양식 | ||
하위개념 | 하위개념 | |
가계(假髻) | 체계(髢髻) | |
다양한 소재를 덧붙여 일정한 형태를 이루는 양식 | 체로 이루어진 양식 |
한국 가계(加髻)의 기능
시대에 따라 가계에 부여되는 의미와 요구가 달라졌기 때문에 가계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소재와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해왔다.
또한 가계에 어떤 역할이 강조되느냐에 따라 가계의 기능이 달라지기도 했다.[7]
- 의례적 기능
옛날은 오직 훌륭한 옷차림을 할 때만 이 가발을 사용하게 되었는데,〈이는 바로 왕후로서 왕을 따라 종묘(宗廟)에 제사 지낼 때라는 것이다.〉
이런 일 외에는 왕후로부터 사서인에 이르기까지 모두 그렇게 하지 않았다.
지금 풍속에서 늘 쓰는 것과 같지 않았기 때문에 비록 남의 머리칼을 취하지 않고 자기의 머리만 갖고도 얼마든지 쓸 수 있었던 것이다.
『성호사설』, 권6, 「만물문」 , 발개(髮䯰)
- 사회적기능
- 미적 기능
한국 가계의 변천배경
- 외적요인 : 복식문화 교류
- 내적요인 : 금지령(禁止令) 제도
- 흥덕왕 복식금제
- 가체 금지령
시대별 분류
상고시대
삼국시대
고려시대
- 원간섭기 이전
- 원간섭기 이후
조선시대
- 가체금지령 이전
- 가체금지령 이후
유형별 분류
형태
- 환계형(環髻形)
- 쓰개형
- 고계형(高髻形)
- 다계형(多髻形)
- 얹은머리형
착장
- 비녀
- 건류
- 탈부착식
장식
- 장신구
- 삽화
- 흔들림
가계와 관련된 여러가지 논의들
- 가계(假髻)의 범위설정에 관한 논의
- 가계(加髻)의 전통성과 독자성에 관한 논의
전통머리(가계)와 관련된 역사적인 사건들
오늘날 전통머리를 복원하고 연구하려는 노력
전통머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사례
출처
- ↑ 임린, 『한국 여인의 전통 머리모양』,(민속원,2009년), 27쪽
- ↑ 위의 책, 28쪽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413&index_id=cp04130027&content_id=cp041300270001&search_left_menu=2
- ↑ 배정룡,『조선조 중·후기 부녀두발의 양식고』,「아시아여성연구」,1982
- ↑ 임린, 『한국 여인의 전통 머리모양』,(민속원,2009년), 34-35쪽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413&index_id=cp04130025&content_id=cp041300250001&search_left_menu=2
- ↑ 임린, 『한국 여인의 전통 머리모양』,(민속원,2009년), 3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