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 − | == | + | ==주석==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
| + | |||
| + | ==더 읽을거리== | ||
|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망건 망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 기록유산 Encyves』<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 인문학 연구소. | ||
2020년 4월 9일 (목) 22:24 판
| 능창대군 이전 망건 (網巾) |
|
| 경기도박물관(https://musenet.ggcf.kr/) |
|
| 대표명칭 | 능창대군 이전 망건 |
|---|---|
| 한자표기 | 網巾 |
| 시대 | 조선시대 17세기 |
| 구분 | 복식, 장신구 |
| 착용성별 | 남성 |
정의
망건은 상투를 틀고, 머리카락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머리에 두르는 장식품이다.[1]
내용
하남시 춘궁동 능창대군(綾昌大君) 이전(李佺, 1599~1615년)의 묘에서 출토된 망건이다. 능창대군 이전은 선조(宣祖, 1552∼1608년)의 손자이다. 이 망건은 말총으로 만든 격자무늬를 짰고, 작은 꽃을 새긴 옥관자 1쌍이 양쪽에 달려있다. 왕실의 기품을 느끼게 하는 단아한 망건이다.[2]
주석
더 읽을거리
- "망건",
『한국 기록유산 Encyves』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 인문학 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