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경소직(露經疎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개요'''== 자리를 엮는 제작기법은 노경소직법과 은경밀직법(隱經密織法)이 있다. 강화 완초(왕골)화문석(莞草花紋席)은 제작기법상으...)
 
 
(같은 사용자에 의한 9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
__NOTOC__
 +
{{clickable button|[[강화도_화문석]]}}
 +
 +
 
=='''개요'''==
 
=='''개요'''==
자리를 엮는 제작기법은 노경소직법과 은경밀직법(隱經密織法)이 있다. 강화 완초(왕골)화문석(莞草花紋席)은 제작기법상으로 염색한 완초(왕골)를 무늬에 따라 뜸으로 박아 엮는 꽃자리이며, 왕골을 평평하게 하고 고드랫돌에 날실을 묶은 후 그 중심에 자리틀을 걸어놓고 앞뒤로 젖히면서 엮는 노경소직으로 만든다.
+
자리를 엮는 제작기법은 노경소직법(露經疎織法)과 [[은경밀직(隱經密織) |은경밀직법(隱經密織法)]]있으며, 강화 [[강화도 화문석| 완초(왕골)화문석(莞草花紋席)]], 자리()와 방석 등은 노경소직으로 [[등메 | 강화 참골화문석(등메)]]는 [[은경밀직(隱經密織) | 은경밀직]]으로 제작한다.  
노경소직(露經疎織)은 노출될 노露, 날실(경사) 경經, 성길 소疎, 짤 직織의 뜻으로 자리를 짤 때, 경사가 노출되면서 성글게 짠다는 의미로 제작 후, 자리 표면을 엮어준 날줄(경사)이 보이는 게 특징이다. 노경소직법과 다른 제직법으로 은경밀직법이 있으며 은경밀직법의 대표적인 돗자리에 강화도 교동의 등메가 있다.  
+
  
 
=='''해설'''==
 
=='''해설'''==
 +
==='''의미'''===
 +
노경소직법(露經疎織法)은 자리를 짤 때 노출될 노露, 날실(경사) 경經, 성길 소疎, 짤 직織의 뜻으로 날줄(경사)이 보이면서 성글게 짜는 방법이라는 의미이다.<br/>
 +
[[돗틀/자리틀/가마니틀 |자리틀]]에 날을 감은 고드랫돌을 앞뒤로 걸쳐 놓고 [[왕골/참골/용수초/부들 | 왕골ㆍ부들ㆍ짚]] 따위를 엮어 자리, 방석, 걸어 놓는 발 등을 만들며 긴 장대는 날실걸이인 동시에 잣대 역할을 하며, 고드래에 감긴 실은 날줄이 되고 그 위에 놓이는 밀짚이나 [[왕골/참골/용수초/부들 | 왕골]]은 씨줄이 되어 자리를 엮어 내게 된다. <br/> <ref> 중도일보. 2007. 10. 23. http://m.joongdo.co.kr/view.php?key=20071023000000077</ref>
 +
제작 후, 자리 표면을 엮어준 날줄(경사)이 보이는 게 특징으로 제작이 쉬워 서민들이 가용(家用)으로 자급자족하는 경향이 많았다.
 +
<ref>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6945</ref>
  
==='''박물관 내부시설 / Museum facilities'''===
+
==='''제직품의 특징'''===
 +
*노경소직으로 제작하면, 날줄(경사)가 보여 다음과 같이 일정한 간격의 세로줄이 생긴다. <br/>
 +
[[File:노경소직1.png | 250px]]
 +
*[[돗틀/자리틀/가마니틀 |자리틀]]의 머릿나무에 홈을 팔 때, 간격을 촘촘하게 하여 홈을 파서 많은 고드렛돌을 설치할 경우, 작업 시간은 그만큼 늘어나지만 날줄(경사)가 더 촘촘하게된다.
 +
[[File:노경소직2.png | 250px]]
 +
*[[돗틀/자리틀/가마니틀 |자리틀]] 머릿나무에 파여진 홈에 걸쳐있는 고드랫돌들을 볼 수 있다. 
 +
[[File:노경소직5.png | 250px]]
 +
*최근에 [[강화참골화문석(등메)_문양/제작방법 | 강화 왕골화문석]]은 나일론 투명사를 사용하고 간격이 촘촘하여 멀리서는 날줄(경사)가 또렷하게 보이지 않지만, 가까이서 보면 날줄(경사)가 보이는 특징을 가진다. 
 +
[[File:노경소직3.png | 250px]] [[File:노경소직6.png |195px]]
  
강화전쟁박물관은 1층의 제1~2전시실, 2층의 제3~4전시실 총 4가지 주제의 전시실이 마련되어 있으며 선사시대부터 근현대까지 강화의 전쟁사 관련 유물을 시대순으로 볼 있도록 전시하였다. <br/>
+
==='''제직을 위한 도구들'''===
 +
*[[돗틀/자리틀/가마니틀 |자리틀]]
 +
*마굿발
 +
기둥역할을 하며 때로는 운반하기 좋게 조립식으로 되어 비교적 쉽게 만들 있다. 옛날에는 직경 10cm의 Y자 소나무 통가지를 골라서 절반으로 잘라 양쪽의 마굿발로 사용했는데, 이는 나무의 질이 단단하기 때문이다. 생긴 모양이 흡사 완초(莞草)를 쪼깰 때 쓰이는 갈구리와 같다.
 +
*노가리
 +
지금부터 10년 전에는 동산에서 칡넝쿨을 쪄다가 삶아서 발뒤꿈치로 밟고 속창을 훑어 아주 가늘게 찢어서 2cm정도로 줄을 이어 실꾸리를 만들어 물에 담가 꼭 짠 다음 세워 놓고 물레에 감았다. 요즈음은 칡넝쿨 대신 나일론줄이 사용된다.
 +
*쇠고드레
 +
과거에는 산에 가서 공기돌을 만들어 매끈매끈하게 다듬어 사용했으나 금방 벗겨지는 단점이 있어 근래는 쇠고드레를 만들어 사용한다.
 +
*시갑칼
 +
자리의 옆이나 끝을 마무리하거나 완초를 자를 때 사용하기 좋게 만들어진 칼이다.
 +
<ref>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저. 한국민속대관.  1980. 8. 15. http://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4523&nodeId=NODE04001422&medaId=MEDA04107039#none </ref>
  
* 제1전시실 (주제관) - 복합영상을 통해 건국부터 오늘날까지 외세의 침략에 맞선 강화의 호국역사를 살펴볼 수 있는 주제관이며, 돌화살촉,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37692&cid=43065&categoryId=43065 고리자루칼], 청동화살촉 등 선사시대부터 남북국시대까지 강화지역의 전쟁 역사를 엿볼 수 있는 각종 무기가 전시되어 있다.
+
==='''제직 방법'''===
 +
*[[File:노경1.png]] 칫수에 따라 고드래를 양쪽에 하나씩 세워 자리틀에 건다. <br/>
 +
*[[File:노경2.png]] 자리틀에 건 노가리를 양쪽 끝에서 펼쳐 보았을 때 <br/>
 +
*[[File:노경3.png]] 좋은 완초를 물에 약간 축여서 속에다 안감을 대고 노가리 위에다 얹어 넣고 엮을 때 <br/>
 +
*[[File:노경4.png]] 번호 순서대로 엮는데 2번째에 와서는 휘갑[옆마무리]을 하기 위한 것이다. <br/>
 +
휘갑을 지을 때는 반드시 3단계까지 만들어 맨 밑을 올려서 돌려 꼬아 놓은 다음 먼저 3날이나 4날을 매고 나중에 맨다. 두 번째부터 노가리로 자리매 올라가는 식이 일정하며 꼭 매었을 때는 노가리가 한 줄로 보이게 된다.<br/>
 +
*[[File:노경5.png]] 양쪽 끝의 휘갑을 매는 모양으로 꼬아 옆으로 붙이는데 맨 위는 항상 그대로 따라 엮어 올라감.<br/>
 +
*[[File:노경6.png]] 문양에 따라 뜸 박을 때 완초 위에다 물감을 덧댄다. 필요한 곳에 뜸을 박고 휘갑칼로 자른다.<br/>
 +
*[[File:노경7.png]] 노가리를 다 써서 위로 고드래가 올라갈 때에 휘갑칼 끝으로 돌려 노가리를 늦추어 준다.<br/>
 +
*[[File:노경8.png]] 끝마무리를 할 때 양쪽 끝에서 잡아당기며 3번을 엮고 난 뒤 끝맺음을 한다.<br/>
 +
<ref> 안복순, 한국완초공예의 편직법과 염색방법에 관한 연구 pp.83-85, 1975년 홍익대 석사학위</ref>
 +
 
 +
==='''현대 노경소직법의 특징'''===
 +
과거에는 은경밀직(隱經密織)을 사용하여야 경사가 보이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나일론 투명사를 사용하고 고드랫돌의 간격을 1.5cm로 촘촘하게 하여 제작하므로 노경소직을 하여도 날줄(경사)가 감춰지는 특징을 가진다.  
  
 
=='''시각자료'''==
 
=='''시각자료'''==
 
==='''사진'''===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60px>
 
 
File:강화전쟁박물관외부1.jpg | 박물관과 갑곶돈대 입구
 
File:강화전쟁박물관외부2.jpg | 박물관 건물
 
File:갑곶돈대3.jpg | 박물관 전경
 
 
</gallery>
 
  
 
==='''영상'''===
 
==='''영상'''===
 
* 채널A 오늘의 영상_스마트리포터 동영상, 왕골 돗자리, 게시일: 2013년 3월 4일.
 
* 채널A 오늘의 영상_스마트리포터 동영상, 왕골 돗자리, 게시일: 2013년 3월 4일.
<html>  
+
<html>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cIEMPX3WQCM"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html>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cIEMPX3WQCM"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html>
+
 
 +
* PULZIPmaster, 발 만들기, 게시일: 2011년 11월 24일.
 +
자리틀에 도르래를 거는 것부터 작업하는 과정들이 모두 담겨 있다. <br/>
 +
<html>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7kJD4hvBqKY"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html>
  
==='''가상현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6%B4%EC%9E%AC%EC%97%B0&ridx=2&tot=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강화 광성보' 사진]</ref>===
 
-추후 드론과 파노라마사진을 넣을 곳입니다.
 
  
 
=='''출처'''==
 
=='''출처'''==

2019년 8월 19일 (월) 15:45 기준 최신판

강화도_화문석


개요

자리를 엮는 제작기법은 노경소직법(露經疎織法)과 은경밀직법(隱經密織法)이 있으며, 강화 완초(왕골)화문석(莞草花紋席), 자리(蓆)와 방석 등은 노경소직으로 강화 참골화문석(등메) 은경밀직으로 제작한다.

해설

의미

노경소직법(露經疎織法)은 자리를 짤 때 노출될 노露, 날실(경사) 경經, 성길 소疎, 짤 직織의 뜻으로 날줄(경사)이 보이면서 성글게 짜는 방법이라는 의미이다.
자리틀에 날을 감은 고드랫돌을 앞뒤로 걸쳐 놓고 왕골ㆍ부들ㆍ짚 따위를 엮어 자리, 방석, 걸어 놓는 발 등을 만들며 긴 장대는 날실걸이인 동시에 잣대 역할을 하며, 고드래에 감긴 실은 날줄이 되고 그 위에 놓이는 밀짚이나 왕골은 씨줄이 되어 자리를 엮어 내게 된다.
[1] 제작 후, 자리 표면을 엮어준 날줄(경사)이 보이는 게 특징으로 제작이 쉬워 서민들이 가용(家用)으로 자급자족하는 경향이 많았다. [2]

제직품의 특징

  • 노경소직으로 제작하면, 날줄(경사)가 보여 다음과 같이 일정한 간격의 세로줄이 생긴다.

노경소직1.png

  • 자리틀의 머릿나무에 홈을 팔 때, 간격을 촘촘하게 하여 홈을 파서 많은 고드렛돌을 설치할 경우, 작업 시간은 그만큼 늘어나지만 날줄(경사)가 더 촘촘하게된다.

노경소직2.png

  • 자리틀 머릿나무에 파여진 홈에 걸쳐있는 고드랫돌들을 볼 수 있다.

노경소직5.png

  • 최근에 강화 왕골화문석은 나일론 투명사를 사용하고 간격이 촘촘하여 멀리서는 날줄(경사)가 또렷하게 보이지 않지만, 가까이서 보면 날줄(경사)가 보이는 특징을 가진다.

노경소직3.png 노경소직6.png

제직을 위한 도구들

기둥역할을 하며 때로는 운반하기 좋게 조립식으로 되어 비교적 쉽게 만들 수 있다. 옛날에는 직경 10cm의 Y자 소나무 통가지를 골라서 절반으로 잘라 양쪽의 마굿발로 사용했는데, 이는 나무의 질이 단단하기 때문이다. 생긴 모양이 흡사 완초(莞草)를 쪼깰 때 쓰이는 갈구리와 같다.

  • 노가리

지금부터 10년 전에는 동산에서 칡넝쿨을 쪄다가 삶아서 발뒤꿈치로 밟고 속창을 훑어 아주 가늘게 찢어서 2cm정도로 줄을 이어 실꾸리를 만들어 물에 담가 꼭 짠 다음 세워 놓고 물레에 감았다. 요즈음은 칡넝쿨 대신 나일론줄이 사용된다.

  • 쇠고드레

과거에는 산에 가서 공기돌을 만들어 매끈매끈하게 다듬어 사용했으나 금방 벗겨지는 단점이 있어 근래는 쇠고드레를 만들어 사용한다.

  • 시갑칼

자리의 옆이나 끝을 마무리하거나 완초를 자를 때 사용하기 좋게 만들어진 칼이다. [3]

제직 방법

  • 노경1.png 칫수에 따라 고드래를 양쪽에 하나씩 세워 자리틀에 건다.
  • 노경2.png 자리틀에 건 노가리를 양쪽 끝에서 펼쳐 보았을 때
  • 노경3.png 좋은 완초를 물에 약간 축여서 속에다 안감을 대고 노가리 위에다 얹어 넣고 엮을 때
  • 노경4.png 번호 순서대로 엮는데 2번째에 와서는 휘갑[옆마무리]을 하기 위한 것이다.

휘갑을 지을 때는 반드시 3단계까지 만들어 맨 밑을 올려서 돌려 꼬아 놓은 다음 먼저 3날이나 4날을 매고 나중에 맨다. 두 번째부터 노가리로 자리매 올라가는 식이 일정하며 꼭 매었을 때는 노가리가 한 줄로 보이게 된다.

  • 노경5.png 양쪽 끝의 휘갑을 매는 모양으로 꼬아 옆으로 붙이는데 맨 위는 항상 그대로 따라 엮어 올라감.
  • 노경6.png 문양에 따라 뜸 박을 때 완초 위에다 물감을 덧댄다. 필요한 곳에 뜸을 박고 휘갑칼로 자른다.
  • 노경7.png 노가리를 다 써서 위로 고드래가 올라갈 때에 휘갑칼 끝으로 돌려 노가리를 늦추어 준다.
  • 노경8.png 끝마무리를 할 때 양쪽 끝에서 잡아당기며 3번을 엮고 난 뒤 끝맺음을 한다.

[4]

현대 노경소직법의 특징

과거에는 은경밀직(隱經密織)을 사용하여야 경사가 보이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나일론 투명사를 사용하고 고드랫돌의 간격을 1.5cm로 촘촘하게 하여 제작하므로 노경소직을 하여도 날줄(경사)가 감춰지는 특징을 가진다.

시각자료

영상

  • 채널A 오늘의 영상_스마트리포터 동영상, 왕골 돗자리, 게시일: 2013년 3월 4일.

  • PULZIPmaster, 발 만들기, 게시일: 2011년 11월 24일.

자리틀에 도르래를 거는 것부터 작업하는 과정들이 모두 담겨 있다.


출처

  1. 중도일보. 2007. 10. 23. http://m.joongdo.co.kr/view.php?key=20071023000000077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6945
  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저. 한국민속대관. 1980. 8. 15. http://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4523&nodeId=NODE04001422&medaId=MEDA04107039#none
  4. 안복순, 한국완초공예의 편직법과 염색방법에 관한 연구 pp.83-85, 1975년 홍익대 석사학위

기여

일자 역할 이름 전공
2019년 6월 정리 및 편집 손형남 인문정보학